-
LPIC level 1 102 공부 - 6장 정리 (세큐리티)[공부] 프로그래밍/Linux 2023. 9. 10. 14:05
6-1 로그아웃하는것이 아니라, 다른 유저 ID와 그룹 ID를 가진 새로운 쉘을 기동하는 커맨드 : su
6-2 지정한 유저 권한에서 특정의 커맨드를 실행하는 커맨드 : sudo
6-3 어느 유저가 root권한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할지를 판단할 때, sudo가 읽어 들이는 설정 파일 : /etc/sudoers
6-4 xinetd의 설정 파일명을 절대패스 : /etc/xinetd.conf
6-5 xinetd의 설정 파일을 편집한다. xinetd 데몬의 재기동을 하지 않고 시그널을 xinetd에 보내는것으로 편집을 유효하게 하고 싶다. kill 혹은 pkill 커맨드의 인수에서 지정하는 시그널의 이름
: HUP 혹은 SIGHUP
pkill -HUP xinetd
6-6 xinetd 설정 파일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속성명 : only_from
6-7 TCP Wrapper에 따라 특정 서비스만 허가하고 싶은 경우, 설정하는 파일
: hosts.allow, hosts.deny, hosts.allow와 hosts.deny
6-8 TCP Wrapper에 따른 엑세스 권한에서 엑세스의 거부를 설정하는 파일
: /etc/hosts.deny
6-9 일반적으로 TCP Wrapper에서 보존되지 않는것
: http
6-10 공개키암호와 공개키인증에 대한 설명
: 공개키암호에서 사용되어지는 공개키는 비밀키에서 산출되어진다.
공개키암호에서는 공개키는 암호화해, 비밀키에서 복호한다.
공개키인증에서는 비밀키에서 인증 데이터를 작성해, 공개키에서 검증한다.
6-11 호스트 examhost에 로그인하는 네트워크 커맨드중에서, 통신로를 암호화하는것 : ssh examhost
6-12 ssh의 known_hosts 파일에 격납되어 있는것
: 서버의 호스트명, IP어드레스, 공개키
6-13 ssh의 파일 known_hosts는 어디에 만들어진것인가
: ssh 클라이언트상
6-14 /etc/ssh/ssh_known_hosts 파일에는 ______의 호스트키가 포함되어 있다.
: 시스템의 모든 유저가 이용가능한 서버
6-15 /etc/ssh_known_hosts 의 파미션
: 모든 유저가 read 가능
6-16 root가 ssh에서 로그인이 안되도록 하기 위해, ssh서버의 설정 파일의 디렉티브의 기술 : PermitRootLogin no
6-17 ssh에서 외부 서버에 접속할때에 사용하는 옵션을 편집하는 유저의 설정 파일
: config
IdentityFile-i아이덴티티 파일Port-p (scp 커맨드는 -P)포트번호Protocol-1 혹은 -2프로토콜 버전User-l유저명6-18 ssh 커맨드 옵션의 설명
: -i에서 아이덴티티 파일을 지정
-o Port에서 ssh서버 포트 번호를 지정
-l에서 로그인하는 유저명을 지정
-2에서 프로토콜 버전2를 지정
6-19 SSH가 사용하는 인증용키를 생성하는 커맨드 : ssh-keygen
6-20 유저 yuko가 호스트 examhost상에서 ecdsa키를 생성했다. 생성한 키는 examhost에서 examserver에 로그인 할때 사용한다. examserver에 examhost의 키를 등록하는 파일
: authorized_keys
6-21 ssh 클라이언트가 ssh 서버에 접속할 때, パスフレーズ를 하는것이 아니라 로그인 하기 위한 비밀키의 관리를 진행하는 프로그램
: ssh-agent
6-22 /bin 디렉토리내에, 일반 유저가 실행해도 root권한에서 실행되는 파일의 일람을 표시하고 싶은 경우, 어떤 find 커맨드를 실행하면 되는가
: find /bin -uid 0 -perm /4000
6-23 현재의 디렉토리 이하에 있는 심볼릭링크 파일을 찾는 커맨드
: find -type l
-> 파일 타입 지정 파일 찾기 : find
d : 디렉토리
f : 통상 파일
l : 심볼릭링크파일
6-24 CDROM을 언마운트하려고 했지만, ビジー로 되어 언마운트가 되지 않았다. CDROM을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스를 조사하는 커맨드
: lsof +f -- /dev/cdrom (= fuser -mv /dev/cdrom)
-> lsof : 파일 시스템에 엑세스 하고 있는 프로세스를 표시
+f 옵션으로 마운트포인트 혹은 디바이스를 지정
-- : f 옵션의 인수의 종료를 지정하고 계속해서 파일시스템 지정
6-25 GPG 설정 파일과 키가 보존되어 있는 유저 홈의 아래의 디렉토리
: ~/.gnupg
6-26 GPG를 사용해서 공개키설정에 따라 송신자가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절차에 대해서, 올바른 설명
(송신자 ID는 ryo@mylpic.com이며, 수신자의 ID는 yuko@mylpic.com, 송신 데이터 파일은 secret-document.txt)
: gpg --enctypt(=e) --recipient(=r) yuko@mylpic.com secret-document.txt
6-27 gpg 커맨드를 실행할 때, 유저가 키의 관리에 관하여 태스크를 대화적메뉴에서 가능하도록하기 위해서는 어떤 옵션을 지정
: --edit-key
6-28 모든 일반 유저의 대화적인 로그인을 일시적으로 중시하는 파일
: /etc/nologin
6-29 last 커맨드가 참조하는 파일
: /var/log/wtmp
6-30 일반 유저가 who 커맨드를 실행 했을 때에 현재의 로그인 유저의 정보를 표시 않하도록 하고 싶다. 이를 위해, 로그인하고 있는 유저를 기록하고 있는 파일은 /var/run/______의 파미션을 일반 유저가 읽지 못하도록 변경하는것으로 했다
: utmp
6-31 프로그램의 리소스등을 제한하는 커맨드
: ulimit
'[공부] 프로그래밍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PIC - level1 시험 준비부터 합격까지 (0) 2023.09.10 LPIC level 1 102 공부 - 5장 정리 (네트워크 기초) (0) 2023.09.10 LPIC level 1 102 공부 - 4장 정리 (시스템 서비스의 관리) (0) 2023.09.10 LPIC level 1 102 공부 - 3장 정리 (유저 어카운트의 관리) (0) 2023.09.10 LPIC level 1 102 공부 - 2장 정리 (X Window System) (0) 2023.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