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PIC level 1 102 공부 - 2장 정리 (X Window System)[공부] 프로그래밍/Linux 2023. 9. 10. 13:46
2-1 윈도우 시스템의 서버로써 /usr/bin/Xorg를 가진 시스템이 있다 -> systemd의 경우에 graphical.target, Sys V init의 경우에 ランレベル5에서 만들었을때
: グラフィカル로그인 화면이 표시 된다
2-2 systemd의 경우에 graphical.target, SysV init의 경우, ランレベル5에서 만들었을 때 로그인 화면이 표시 된다. 이 로그인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프로그램은 어떤 프로그램?
: 디스플레이 매니저
2-3 디스플레이 매니저가 기동하는 프로그램
: gnome-session
Xorg 서버
2-4 Wayland에 대한 설명
: X를 대신하는 새로운 디스플레이 서버이다
개개의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윈도우를 합성해 스크린 이미지를 생성한다
2-5 Linux의 윈도우 매니저
: metacity
kwin
2-6 X서버의 色数를 표시라는 커맨드
: xdpyinfo
xwininfo
-> xdpyinfo : X서버에 대한 정보를 표시 [depth of root window : 1 => 2의 1승]
xwininfo : 클릭한 특정 윈도우의 정보를 표시
2-7 X Window System의 해상도를 변경하기 위해서 편집하는 설정 파일
: xorg.conf
-> xorg.conf의 디렉토리 : /etc/X11 (/etc, /usr/etc/X11, /usr/lib/X11 아래에도 OK : -config 옵션으로 설정
ServerLayoutInputDevise와 Screen의 식별명등, 전체의 레이아웃을 기술Files폰트의 패스등, 파일의 패스명의 기숳InputDevice키보드와 마우스등, 입력 디바이스의 기술Device비디오카드의 드라이브명등, 디바이스의 기술Monitor수직, 수평주파수등 모니터의 기술Screen해상도, 심색도등, 스크린의 컴피크레이션의 기숳2-8 애플리케이션 xclock를 2대째의 모니터에 표시하는 환경변수
: export DISPLAY=:0.1; xclock
서버명:디스플레이스번호.스크린번호서버명리퀘스트를 보내는곳의 X서버를 지정 (생략시 localhost)디스플에이 번호같츤 키보드와 마우스를 공유하는 모니터의 집합에 대하여 부여된 번호 (통상 0)스크린 번호모니터에 부여된 번호 (0은 1대째, 1은 2대째 모니터를 지정)2-9 X서버에 출력을 보내기 위해서 X클라이언트에서 설정하는 환경변수
: DISPLAY
2-10 네트워크상에 있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다수의 유저가 각자 자신의 데스크업에서 이용하도록 했다. X클라이언트에서의 리퀘스트를 각 데스크업에 표시 하기 위해서는 각 데스크업에서 엑세스 제어를 무효로 하고 싶을 경우
: xhost +
-> X Window System은 네트워크형 윈도우 시스템
X 클라이언트 설정 : 환경변수 DISPLAY에서 보내는곳의 X 서버를 지정
X 서버 설정 : xhost 커맨드를 실행 해 클라이언트 호스트에서 리퀘스트를 허가
xhost [[+-]호스트명의 리스트] : 인수가 없을 경우는 현재의 상태를 표시
+ 호스트명 => 지정한 호스트에서 리퀘스트를 허가
- 호스트명 => 지정한 호스트에서 리퀘스트를 금지
2-11 xhost 커맨드에서 X 서버에의 엑세스 허가를 설정하는것에 따라 세큐리티상의 문제점
: 클라이언트가 인증없이 서버에 엑세스 가능
2-12 X11 포트 전송의 설명
: 리모트 ssh서버에서 실행한 X 애플리케이션을 로컬 호스트의 화면에 표시, 조작 가능
ssh 서버와 ssh 클라이언트에서 X11 포트 전송을 허가 할 필요가 있다
-> X11 전송 : 리모트의 X 클라이언트 호스트의 X11포트를 ssh의 통신로를 이용하여 로컬의 X 서버에 전송하는 것으로 리모트에서 실행한 X 애플리케이션을 로컬 호스트에서 표시, 조작이 가능
2-13 XDMCP의 설명
: X 서버가 네트워크를 중개하여 디스플레이 매니저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
-> XDMCP : X 서버가 네트웨크를 중개하여 디스플레이 매니저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
2-14 VNC의 설명
: 리모트머신의 グラフィカル데스크톱을 로컬머신의 데스크톱에 표시
통신로에 ssh를 사용하는 것으로 세큐리티를 강화 가능
-> VNC : RFB프로토콜에 따라 리모트머신의 グラフィカル데스크톱을 로컬머신의 데스크톱내에서 공유가능
로컬머신상에서 리모트머신의 데스크톱의 표시, 조작이 가능 / ssh를 사용하는것으로 세큐리티 강화
2-15 표준기능만 인스톨 된 리모트의 Windows Server의 콘솔을 로컬의 Linux의 데스트톱에 표시 가능한 프로토콜?
: RDP
-> RDP : Windows를 리모트에서 조작하기 위한 프로토콜, Windows Server의 콘솔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순서를 실행
- Windows Server측에서 RDP를 유효설정
2. Linux의 데스크톱에서 Windows Server를 지정하여 rdesktop 커맨드 실행
2-16 가상머신(VM)의 콘솔을 로컬 호스트의 화면에 표시해, 조작이 가능한 프로토콜은?: SPICE, VNC
-> SPICE : 가상머신의 콘솔을 로컬 호스트의 화면에 표시해, 조작하기 위한 프로토콜
2-17 Linux에서 이용가능한 엑세스 세큐리티 기능으로써, 온스크린 키보드를 표시
: gok
2-18 눈이 불편한 사람을 위한 텍스트를 읽어주는 프로그램
: emacspeak
-> emacspeak는 Emacs 환경에 통합화 된 스크린리더의 애플리케이션
2-19 스무스한 키 입력이 곤란한 사람을 위한 키보드 설정
: スティッキー・キー
スロー・キー
バウンス・キー
-> スティッキー・キー : 두개의 키를 동시에 누르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 [Ctrl]+[C]와 같은 키를 순서대로 누르는 조작으로 유효하게 설정하는 키
スロー・キー : 지정한 시간보다 오래 계속 누르지 않으면 그 키의 입력을 유효로 하지 않는 설정
バウンス・キー : 같은 키를 빠르게 누른 경우는 그 키의 입력을 유효하지 않도록 하는 설정
'[공부] 프로그래밍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PIC level 1 102 공부 - 4장 정리 (시스템 서비스의 관리) (0) 2023.09.10 LPIC level 1 102 공부 - 3장 정리 (유저 어카운트의 관리) (0) 2023.09.10 LPIC level 1 102 공부 - 1장 정리 (쉘, 스크립트) (0) 2023.09.10 LPIC level 1 101 공부 - 7장 정리 (시스템 아키텍쳐 관리) (0) 2023.09.09 LPIC level 1 101 공부 - 6장 정리 (소프트웨어 관리) (1) 2023.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