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PIC level 1 101 공부 - 7장 정리 (시스템 아키텍쳐 관리)[공부] 프로그래밍/Linux 2023. 9. 9. 10:25
7-1 Intel Core 마이크로 아키텍쳐를 채용한 프로세스 내 혹은 PCH 내에서
중요한 디바이스는?
:PCI
・AGP : Intel Core 마이크로 아키텍쳐보다도 이전의 아키텍쳐에서 채용 된 그래픽 전용 バス
・ISA : Intel Core 마이크로 아키텍쳐보다도 이전의 PC/AT 호환성에서 채용되고 있는 저속 확장バス
7-2 lspci 커맨드에서 표시 할 수 있는 정보로써 적절한 것
: 디바이스의 IRQ 정보, バス스피드, 디바이스의 벤다ID
-> lspci : 시스템의 모든 PCIバス와 접속 되어있는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표시
-s 옵션 : 특정バス, 디바이스, 기능을 지정 가능
-v 옵션 : 상세정보를 표시 가능
7-3 USB에 접속된 디바이스의 정보를 표시 : lsusb
-> lsusb : USBバス와 접속 되어있는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표시
-t 옵션 : USB 디바이스의 물리적인 계층 구조를 표시
-s 옵션 : [Bus 번호 : 디바이스 번호]에 따라 표시하는 디바이스 지정 가능
-v 옵션 : 상세정보를 표시 가능
・lsof : 오픈 하고 있는 파일의 일람 표시
・lsmod : ローダブルカーネルモジュール(LKM)의 일람 표시
・lsscsi : SCSI 디바이스의 일람 표시
7-4 IRQ 정보가 확인 가능한 파일 : /proc/interrupts
7-5 Linux 커널의 모듈의 상태를 표시 : lsmod
-> lsmod 입력 시 /proc/modules 파일의 내용이 표시
・lspci : PCIバス에 접속된 디바이스 정보 표시
・modprobe : カーネルモジュール의 추가와 삭제를 행함
7-6 필요한 의존성 모듈을 로드 하는 커맨드 : modprobe
modprobe [옵션] [모듈명]-r, --remove모듈 삭제--show-depends모듈의 의존관계를 열거-c, --showconfig설정 파일의 내용을 표시7-7 ACPI 이벤트
: 전원버튼의 押下
노트북 PC의 フタの開・閉
-> ACPI : PC/AT 호환성의 전원제어의 통일 규격으로써 채용 된 하드웨어コンポーネント의 전원관리를 위한 규격
전원버튼, 노트북 PC의 フタの開・閉, 배터리 충전상태 등
7-8 SysV init을 사용한 시스템에서 처음에 커널이 생성하는 유저 프로세스의 절대 패스 : /sbin/init
7-9 grub-install/dev/sda를 실행하면?
: 필요한 파일을 인스톨 해서 ブートローダ를 구성한다
7-10 GPT의 설명
: EFI 규격 중에서의 기능 중 하나
디스크에는 GUID가 할당되어 있음
파티션에는 GUID가 할당되어 있음
-> MBR은 기본 파티션을 4개, GPT는 파티션을 128개 이용 가능
최대 파티션 사이즈로는 MBR은 2TiB, GPT는 8ZiB
7-11 ブートローダ인 GRUB의 설정 파일로써 적절한 것
: /boot/grub/menu.lst
/boot/grub/grub.conf
7-12 /boot/grub/grub.conf에서 설정 가능한 것
: Linux 커널
초기 RAM 디스크 이미지
설정 항목default디폴트로 기동하는 OS를 정의title에서 エントリ된 몇 번째인지를 나타냄timeoutOS를 자동 기동할 때까지의 대기 시간을 정의splashimageGRUB 메뉴의 배경화면을 지정hiddenmenuGRUB 메뉴를 비표시title기동하는 OS에 대해서 이름을 설정rootGRUB의 루트 디바이스를 정의커널이나 초기 RAM 디스크 이미지가 보존되어 있는 파티션을 지정kernel커널의 이미지 파일과 커널 옵션을 지정initrd초기 RAM 디스크 이미지 파일을 지정7-13 ブート시에 커널에 건네 받은 인수를 확인 할 수 있는 파일명
: /proc/cmdline
・ ro : 읽기 전용
・ root= : 루트 파티션 지정, 루트 파일 시스템의 파티션명 혹은 라벨명으로 정의
・ quiet : 메세지 표시 X
7-14 시스템 기동 시에 가능한 메세지를 표시 안하는 커널 옵션
: quiet
7-15 UEFI의 ブートローダ는 어디에 배치?
: EFI 시스템 파티션
・ BIOS : 디스크의 선두 블럭(MBR)에 쓰여진 ブートローダ를 메모리에 로드
・ UEFI : UEFI ブートエントリ에서 지정된 EFI 시스템 파티션중에 ブートローダ를 메모리에 로드
7-16 GRUB2를 인스톨 할 때에 사용 되어지는 디렉토리와 파일
: /boot/grub/grub.cfg
/usr/lib/grub/i386-pc
7-17 EFI 파티션중에 있는 것
: 제 1 스테이지의 ブートローダ
7-18 GRUB2에서 유효한 커맨드
: initrd, insmod
7-19 GRUB2를 인스톨 할때 커맨드
: grub-install /dev/sda
grub2-install /dev/sda
7-20 initramfs에 대한 설명
: initramfs는 압축 아카이브 파일
기동한후 /run/initramfs에 로그가 남는다
7-21 시스템 시작 시에 커널이 출력하는 메세지를 시스템 기동 후에 확인하고 싶을 경우 실행하는 커맨드 : cat /var/log/dmesg
7-22 시스템 기동에 커널이 화면에 표시하는 메세지를 표시
: dmege
7-23 /var/log/dmesg가 리셋될 타이밍
: dmesg --clear에서 명시적으로 리셋했을 때
7-24 SysV init 시스템의 ランレベル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어떤 파일 편집?
: /etc/inittab
7-25 /etc/inittab 파일 설명
: 시스템 기동 후의 디폴트의 ランレベル를 정의 가능
7-26
/etc/rc1.d/K01myscript1
/etc/rc2.d/S02myscript2
: ランレベル1에 기동할 때에, K01myscript1의 서비스를 정지
ランレベル2에 기동할 때에, S02myscript2의 서비스를 개시
'[공부] 프로그래밍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PIC level 1 102 공부 - 2장 정리 (X Window System) (0) 2023.09.10 LPIC level 1 102 공부 - 1장 정리 (쉘, 스크립트) (0) 2023.09.10 LPIC level 1 101 공부 - 6장 정리 (소프트웨어 관리) (1) 2023.09.09 LPIC level 1 101 공부 - 5장 정리 (파일 관리) (0) 2023.09.09 LPIC level 1 101 공부 - 4장 정리 (파일 시스템 관리) (0) 2023.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