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주 쓰는 명령어 모음[공부] 프로그래밍/Linux 2025. 7. 6. 21:08
리눅스 & 네트워크 실무 명령어 정리
🌐 1. curl -X -H -d
HTTP 요청을 서버에 전송할 때 사용합니다.
- -X: 요청 메서드 (GET, POST 등)
- -H: 헤더 추가
- -d: 전송할 데이터 지정
curl -X POST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key":"value"}' http://example.com
👤 2. useradd -m
새 사용자를 생성하고 홈 디렉토리를 자동으로 생성합니다.
- -m: 홈 디렉토리 생성
sudo useradd -m newuser
📦 3. rpm -ivh, rpm -qa
RPM 패키지 설치 및 확인에 사용합니다.
- -i: install
- -v: verbose
- -h: 진행 상태 표시
- -qa: 모든 설치된 패키지 조회
sudo rpm -ivh package.rpm # 설치 rpm -qa | grep nginx # 설치된 패키지 목록 확인
🔧 4. chown -R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소유자와 그룹을 변경합니다.
- -R: 하위 디렉토리까지 재귀 적용
sudo chown -R user:group /path/to/dir
🔐 5. chmod 640
파일 권한 설정 명령어입니다.
- 소유자: 읽기/쓰기
- 그룹: 읽기
- 기타 사용자: 접근 불가
chmod 640 file.txt
📝 6. sed -i -e
텍스트 파일에서 문자열을 치환하거나 수정할 때 사용합니다.
- -i: 파일을 직접 수정 (in-place)
- -e: 실행할 스크립트 지정
sed -i -e 's/old/new/g' filename.txt
🧠 7. free -m
시스템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합니다.
- 단위: MB
- 메모리와 스왑의 총 사용량, 여유 공간 확인 가능
free -m
💽 8. df -h --total
디스크 공간 사용 현황을 확인합니다.
- -h: 사람이 읽기 쉬운 단위(GB, MB 등)
- --total: 전체 합계를 함께 출력
df -h --total
🌍 9. nslookup
도메인 이름(DNS)을 IP 주소로 조회하거나 그 반대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DNS 설정 확인이나 네트워크 이슈 디버깅 시 유용합니다.
nslookup example.com # 도메인 → IP nslookup 8.8.8.8 # IP → 도메인 (역방향) nslookup example.com 1.1.1.1 # 특정 DNS 서버 지정
'[공부] 프로그래밍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PIC - level1 시험 준비부터 합격까지 (0) 2023.09.10 LPIC level 1 102 공부 - 6장 정리 (세큐리티) (0) 2023.09.10 LPIC level 1 102 공부 - 5장 정리 (네트워크 기초) (0) 2023.09.10 LPIC level 1 102 공부 - 4장 정리 (시스템 서비스의 관리) (0) 2023.09.10 LPIC level 1 102 공부 - 3장 정리 (유저 어카운트의 관리) (0) 2023.09.10